미술칼럼 > 서예

[김영복의 서예이야기] 둔필이 없는 창녕 조 씨 가문 : 조문수, 조윤형, 조인승

조선 말에 동지사 서장관으로 청나라에도 다녀온 조인승(曺寅承, 1842~1896)이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대사헌까지 올라간 사람으로 일본이 내정간섭을 하려고 하던 때, 일본측과 협상테이블에 앉기도 하고 조선의 독자개혁 대신으로 임명되기도 했습니다. 명성황후 시해사건 이후 의병이 봉기했을 때 의병부대에 의해 살해됐습니다. 이 사람의 글씨는 부드러운 동기창 계열인데, 이 무렵의 김옥균, 홍영식 등 알아주는 글씨들이 비슷한 느낌이기도 합니다. 그 무렵의 글씨 중에는 이건창 글씨도 좋습니다. 


동곡 조인승, 서간, 종이에 먹, 25.4x37.7cm 칸옥션



이건창(1852~1898), 서간, 1895년, 종이에 먹, 22.4x38cm 경기도박물관


조선 말기의 조인승은 조선시대 글씨로 집안간 겨루기를 한다면 최고를 다툴 창녕 조 씨 집안입니다.(조선 전기에 성수침, 우계 성혼 등을 배출한 창녕 성씨가 잘 쓴다고 했지만 후기에 와서 그 후손들은 이름을 남기지 못했습니다.) 조 씨 중에 글씨 못 쓰는 사람이 없다 해서 ‘조씨무둔필(曺氏無鈍筆)’이라는 말도 있었습니다. 

창녕 조 씨 가문에서 글씨로 대표가 될 만한 사람을 찾아 올라간다면, 이전에도 소개한 바 있는 설정(雪汀) 조문수(曺文秀, 1590~1647)라 하겠습니다. 조문수 당대, 17세기 조선에서 글씨 잘 쓰기로 손꼽혔던 사람들은 남창(南窓) 김현성(金玄成, 1542~1621), 동회(東淮) 신익성(申翊聖 1588~1644) 등입니다. 김현성과 신익성은 모두 조맹부의 글씨인 송설체로 유명합니다. 조문수 또한 크게 보면 송설체이지만 여기에 왕희지체가 덧붙여져 가늘고 미려한 송설체에 비해 조금 둔탁한 느낌을 줍니다. 


설정 조문수 <范氏心箴> 1647년, 종이에 먹, 29X17cm, 1647년



조맹부趙孟頫 <한거부閑居賦>



왕희지(王羲之) <난정서(蘭亭序)>


획의 굵기에 큰 차이가 없어 둔탁한 느낌을 주어 획이 리듬감 있게 변화하는 신익성의 글씨나 강약이 있고 부드러운 김현성의 글씨와는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 둥글둥글한 설정의 글씨를 들여다보면 한석봉의 글씨와도 닮은 점이 있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신익성의 글씨




『근역서화징』에 인용된 『서주집』에서의 설정 조문수에 대한 평가를 보면 “본래 송설체를 좋아했으나 그 색태가 너무 곱고 예쁜 것을 싫어하여 다만 꺾어진 마디와 살이 이어댄 곳만을 취하고 거기다가 우군(右君, 왕희지)의 청진(淸眞)한 뜻을 혼합했으니, 그 글씨의 체와 기운이 무르녹고 순수하며 파임[波]과 지게다리[戈]가 유동하여 종이를 펴 놓고 글씨를 쓸 적에 바람과 비가 몰아치는 듯하여 크고 작은 해서와 초서가 각각 그 극진한 지경에 이르렀다.”고 되어 있습니다. 끝 부분이 낭창낭창한 것이 송설체 장점인데 설정 조문수의 경우 지나치게 유려한 부분이 싫어서 일부 장점만 취하고 우직한 그의 서체를 만들어냈다는 것입니다. 저는 한석봉체가 약간 들어갔다고 봅니다. 


그의 아들 중에는 회곡(晦谷) 조한영(曺漢英,1608~1670)이 문장도 잘하고 기백이 있어서 기억할 만합니다. 그는 유명한 척화파로 심양에 억류되기도 하는 등 공이 있어 '불천위(不遷位)'를 받습니다. 본래 4대가 넘는 조상의 신주는 사당에서 꺼내 묻어야 하지만 나라에 공훈이 있는 사람의 신위는 왕의 허락으로 옮기지 않아도 되는 지위를 누리게 되는데, 이를 불천위, 불천지위(不遷之位)라 합니다. 불천위가 되는 사당을 부조묘(不祧廟)라고 하기도 해요. 이 사당은 모실 사람이 없으면 나라에서 양자를 들이게 해서라도 지키도록 합니다. 



조한영, 동춘당 송준길 선생에게 보낸 시고(詩稿)


조한영 아래 '두루 주(周)' 자 항렬 조헌주, 조건주 등이 글씨로 이름이 전해지고 있으며, 그들의 자식 대 '하(夏)' 자 돌림 조하망과 조하기가 영조 때의 명필입니다. 그 아래 '명(命)' 자 돌림으로 조명채 조명교 등이 유명하고 글씨도 잘 썼습니다. 


그러나 뭐니뭐니해도 조명교의 아들 조윤형(曺允亨, 1725-1799)에 와서 창녕 조 씨 집안의 글씨가 빛이 났습니다. 원교 이광사와 백하 윤순의 제자로서 조윤형은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서예가 중 한 사람이 되었습니다. 


조윤형 <난정시蘭亭詩(손작孫綽 시)> 21.7x11.7cm 화정박물관


송하 조윤형의 초서


조윤형의 해서


'윤(允)' 자 항렬인 윤형, 윤대, 윤명, 윤정 등이 글씨를 잘 쓰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윤형은 그다지 높은 벼슬은 하지 못했지만 글씨로 유명했기에 임시로 서사관으로 발탁되기도 했습니다. 정조가 『춘추』를 제작할 때 조윤형과 도곡 황운조(道谷 黃運祚)가 글씨를 나눠서 썼습니다. 까다로운 정조의 기준을 통과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겠지요. 송하 조윤형은 소론 글씨를 이야기할 때 다룬 적이 있었지만 특히 초서가 좋습니다. 윤백하(백하 윤순), 이원교(원교 이광사), 조송하(송하 조윤형) 이 셋의 초서는 연결하여 감상하고 연구해 볼 만 합니다. 조윤형의 독특한 사인이 있는데 '송하옹(松下翁)'이라는 세 글자를 하나로 합쳐서 쓴 것입니다. 

조윤형의 글씨는 이광사보다는 각이 덜한데, 이는 그의 성격을 반영하는 것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워낙 부드러워서 알아보기 좋습니다. 이광사는 거칠고 강한 편이고 윤순은 부드러운 편입니다. 다만 초서의 경우가 그런 것이고 예서와 해서 등은 세 사람의 글씨를 구별하기가 어렵습니다. 

조윤형에게는 정부인에게서 아들이 없고 서자만 있었습니다. 조윤형은 서녀인 딸을 자하 신위에게 시집 보내 그의 첫째 부인이 됩니다. 
 
창녕 조 씨 윤자 항렬 아래에는 떨칠 진(振) 자 돌림으로 조용진, 조봉진이 있고, 조윤형의 양자 아들 조성진 등이 있는데 가장 유명한 사람은 조봉진입니다. 그 아래 항렬로는 주석 석(錫)자 항렬 조석원(조윤형 손자) 등이 있고 이 항렬에서 글씨 잘 쓰는 사람이라고 하면 조석원 외에 조석정(조윤명 손자), 조석여, 조석우 등이 있습니다. 



※ 관련 칼럼 링크
중기의 명필(1) : 남창 김현성
중기의 명필(2) : 선조의 사위 동회 신익성
중기의 명필(3) : 설정 조문수
소론의 글씨(4) : 조윤형, 서무수, 서명균






업데이트 2024.01.30 16:36

  

최근 글